유물 및 유적

home > 유물 및 유적

우윤공파

페이지 정보

본문

 

iq02.png 유적: 우윤공파 묘원(右尹公派 墓園)

 

um-83.jpgbul_pop_page_on.jpg 내역: 문중토지 약 14만평 중 3천평에 1995년부터 조성하여 2005년 1차 완공하고, 이후 공적비 등을 추가 설치하였다.

bul_pop_page_on.jpg 위치: 충남 아산시 음봉면 동천리 산 10-2

 

 

 

iq02.png 유적: 10세 변효량 송덕비(10世 卞孝良 頌德碑)_우윤공파

 

um-84.jpgbul_pop_page_on.jpg 내역: 10世 효량(孝良,1400~?)은 우윤공파 중시조로 문과에 급제하고 관은 우윤(右尹)을 역임했으며, 이를 기려 2013년 송덕비를 설치하였다.

bul_pop_page_on.jpg 위치: 충남 아산시 음봉면 동천리 산 10-2,문중묘원내

 

 

iq02.png 유적: 이충무공 어머니 사시던곳_우윤공파

um-85.jpg

bul_pop_page_on.jpg 내역: 16世 덕현(德賢,1515~1597,배우자는 덕수인 이정)은 이순신(1545~1598 )장군의 모친으로 왜란을 피해 1593년~1597년 여수 정대수장군 집을 기거지로 했다. 2016년 중건하고 여수 문화재 제1호 겸 전남 문화재 제295호로 지정되어 어린이들의 충효교육 현장학습에 활용된다.

bul_pop_page_on.jpg 위치: 전남 여수시 신월로 195(웅천동)

 

 

iq02.png 유적: 해암리 게바위(蟹巖里 게바위)_우윤공파

 

um-86.jpgbul_pop_page_on.jpg 내역: 삼도수군통제사 이순신이 모함으로 파직되어 1597년 2월 24일 한양으로 압송되자, 모친 변씨부인은 83세의 나이로 여수 고음내에서 배를 타고 백의종군하던 이순신장군을 만나러 가던 중 선상에서 사망하여 이순신장군은 1597년 4월 13일 아산 게바위에서 어머니의 시신을 맞았다. 장군의 효행을 기려 매년 아산시에서 추모제를 지낸다.

bul_pop_page_on.jpg 위치: 충남 아산시 인주면 해암리 197-2

 

 

 

iq02.png 유적: 17세 변존서 공적비(17世 卞存緖 功績碑)_우윤공파

 

um-87.jpgbul_pop_page_on.jpg 내역: 17世 존서(存緖)는 1592년 임진란에 주부(主簿)로 참전하여 선무원종공신 2등훈을 받고 부장(部將)이 된다. 후손들이 1986년 박명수의 찬(撰)으로(또는 박명수가 지은 글로) 공적비를 설치하였다

bul_pop_page_on.jpg 위치: 충남 아산시 음봉면 동천리 산 10-2, 문중묘원내

 

 

 

iq02.png 유적: 25세 변영식 공적비(25世 卞永植 功績碑)_우윤공파

 

um-88.jpgbul_pop_page_on.jpg 내역: 25世 영식(永植, 1775~1883)은 1800년 무과에 급제하고 운봉현감을 지냈으며 그 선정비가 있다. 이를 1980년 29世 광수(鑛洙, 1906~1981)가 중건하였다

bul_pop_page_on.jpg 위치: 충남 아산시 음봉면 동천리 산 10-2, 문중묘원내.

 

 

iq05.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