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물 및 유적

home > 유물 및 유적

이조참판공파

페이지 정보

본문

iq02.png 유적: 덕후재(德厚齋)_이조참판공파

um-65.jpg

bul_pop_page_on.jpg 내역: 10世 효경(孝敬, 1398~1456) 후손들의 제실로 1964년 창건되어 매년 양력 11월 2째주 토요일에 약 30여명이 모여 세일제를 지내고 회의를 한다.

bul_pop_page_on.jpg 위치: 전남 장흥군 안양면 풍암중산길 53-35

 

 

iq02.png 유적: 10세 변효경 신도비와 13충훈비(10世卞孝敬 神道碑와 13忠勳碑)_이조참판공파

um-82.jpg

bul_pop_page_on.jpg 내역: 10世 효경(孝敬,1398~1456)은 이조참판공파 중시조(中始祖)로 이를 기리는 신도비가 있으며, 13충훈비(16世 국간, 17世 홍원외 7명, 18世 공의외 3명)에는 이조참판공파 13명의 국란극복에 대한 내용이 기술되어 있다

bul_pop_page_on.jpg 위치: 전남 장흥군 안양면 수양리 357

 

 

iq02.png 유적: 16세변국수 양전문중 입향시조 묘와 비(16世 卞國秀 良田門中 入鄕始祖 墓와 碑)_이조참판공파

um-66.jpg

bul_pop_page_on.jpg 내역: 16世국수(國秀,1504~?)는 성균진사를 지냈고 1520년경에 진주부 양전마을(지금의 일암리,양촌리)에 터를 잡아 두 아들 17세 백(栢)과 죽(竹)을 두었다. 후손들이 성구사(誠久祠)에서 매년 음력 10월 15일 앞 일요일에 세일제를 지낸다.

bul_pop_page_on.jpg 위치: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일암리 산 29

 

 

iq02.png 유적: 16세 변국간 선정비(16世 卞國斡 善政碑)_이조참판공파

 

um-67.jpgbul_pop_page_on.jpg 내역: 16世 국간(國幹, 1527~1591)의 전라좌수사 시절 선정으로 1588년에 세워진 비로, 전라좌수영인 여수 진남관의 비림(碑林)중 가장 오래된 비다.

bul_pop_page_on.jpg 위치: 전남 여수시 동문로 11 진남관(국보 304호) 앞 비림내

 

 

 

iq02.png 유적: 호국충혼탑(護國忠魂塔)_이조참판공파

 

um-71.jpgbul_pop_page_on.jpg 내역: 조선오란(왜란,이괄의 난,정묘호란,병자호란,이인좌의 난)의수훈자들 2143위 중에 변문 15위인 16世 국간, 17世 홍원외 7명, 18世 공의외 4명, 19世 립이 포함되어 있다.

bul_pop_page_on.jpg 위치: 전남 담양군 창평면 경동길 54, 충의사 호국충혼탑

 

 

 

iq02.png 유적: 정헌재(靜軒齋)_이조참판공파

 

um-70.jpgbul_pop_page_on.jpg 내역: 16世 국경(國經) 후손들의 제실로 매년 양력 11월 2째주 일요일에 40여명이 모여 세사를 지낸다.

bul_pop_page_on.jpg 위치: 전남 보성군 보성읍 강산1길 19-4

 

 

 

iq02.png 유적: 이치대첩비(梨峙大捷碑)_이조참판공파

um-73.jpg

bul_pop_page_on.jpg 내역: 임진왜란시 권율장군의 조선육군이 거둔 최초의 승전인 이치대첩( 1592년 7월 8일)을 기념하는 비로 처음에는 금성면에 세워졌고, 1964년에 현위치로 다시 세워졌다. 여기에 변문 5인(17世 홍달·홍건·홍주·홍량, 18世 덕황)이 포함되어 있다.

bul_pop_page_on.jpg 위치: 충남 금산군 진산면 대둔산로 191

 

 

iq02.png 유적: 삼강려(三綱閭)_이조참판공파

 

um-74.jpgbul_pop_page_on.jpg 내역: 임진왜란 전사한 주부(主簿) 18世 연수(延壽,1538~1597)와 아들 19世 립(岦,1555~1597), 7일만에 순종한 아들의 배우자 안동김씨 3인의 충효열(忠孝烈)인 삼강(三綱)을 기리는 곳이다. 연수(延壽)는 병조판서에, 립(岦)은 통정대부 승정원좌승지에 각 증직(贈職)되었다.

bul_pop_page_on.jpg 위치: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양촌리 235-1

 

 

 

iq02.png 유적: 경모재(敬慕齋)_이조참판공파

 

um-75.jpgbul_pop_page_on.jpg 내역: 19世 운익(雲翼,1555~1578) 후손들의 제실로 2023년 신축해서 매년 음력 10월 15일이 속하는 주의 뒤 일요일에 세사를 지낸다.

bul_pop_page_on.jpg 위치: 경남 양산시 물금읍 오봉3길 44

 

 

 

iq02.png 유적: 영언재(永言齋)_이조참판공파

 

um-76.jpgbul_pop_page_on.jpg 내역: 21世 기운(紀雲, 1619~?.4.8) 후손들의 시제를 지내는 곳으로 매년 음력 10월 15일이 속하는 주의 뒤 일요일에 약 30여명이 모여 세사를 지낸다.

bul_pop_page_on.jpg 위치: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팔의사로 511-28

 

 

 

iq02.png 유적: 추모재(追慕齋)_이조참판공파

 

um-77.jpgbul_pop_page_on.jpg 내역: 24世 종귀(宗貴, 1817~1896) 후손들의 제실로 매년 봄 4월 둘째주 토요일에 약 30여명이 모여 세사를 지낸다

bul_pop_page_on.jpg 위치: 전남 장흥군 안양면 장수길 45

 

 

 

iq02.png 유적: 위선기적비(爲先紀跡碑)_이조참판공파

 

um-78.jpgbul_pop_page_on.jpg 내역: 25世 성규(晟圭, 1821~1895), 26世 종옥(鍾玉 1892~1958), 27世 길수(佶洙,1914~?)가 문중산소 문제로 소송을 당하는 등 많은 어려움을 극복하고 원만히 해결하였기에 이를 기리기 위해 28世 상용(相鏞,1912~?)이 비를 세운다.

bul_pop_page_on.jpg 위치: 전남 장흥군 안양면 풍암중산길 53-35

 

 

 

iq02.png 유적: 27세 변응수 유허비(27世 卞應洙 遺墟碑)_이조참판공파

 

um-80.jpgbul_pop_page_on.jpg 내역: 27世 응수(應洙,1846~1921) 조선 말 문과에 급제하고 중앙관직을 역임후 퇴직했다. 문중선양(성구사와 삼강려 설치),인재양성(도산서당 설립), 독립운동(4.3만세운동) 지원에 힘썼다. 응수(應洙)가 틈틈이 쓴 글을 후손들이 모아 1927년 지재집(志齋集)을 출간한다.

bul_pop_page_on.jpg 위치: 경남 마산합포구 진전면 일암리

 

 

 

iq02.png 유적: 팔의사 창의탑(八義士 彰義塔)_이조참판공파

 

um-81.jpgbul_pop_page_on.jpg 내역: 1919년 4.3 삼진의거 독립만세운동에서 순절하신 8의사를 기리는 탑으로 8인 중에는 변문 2인 28世 상복(相福)과 29世 갑섭(甲燮)이 포함되어 있다. 그 외에도 29世 상태(相泰) 등 총 13인의 변문의사가 독립만세운동에 적극 참여하여 재판을 받거나 감옥에 투옥되기도 했다.

bul_pop_page_on.jpg 위치: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북면 지산리 58-11

 

 

iq05.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