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물 및 유적

home > 유물 및 유적

제학공파_지락헌

페이지 정보

본문

iq02.png 유적: 11세 변이흠 묘와 비(11世 卞李欽 墓와 碑)_지락헌공파

um-53.jpg

bul_pop_page_on.jpg 내역: 11世 이흠(李欽, 1420~1495)은 진잠현감을 사직하고, 1460년경 현 산양으로 이주하여 지락헌,징파루 등을 세워 채수, 홍귀달 등과 교류하면서 성리학(性理學)을 논의하였다.

bul_pop_page_on.jpg 위치: 경북 문경시 호계면 구산리 산 40

 

 

iq02.png 유적: 사효재(思孝齋)_지락헌공파

um-54.jpg

bul_pop_page_on.jpg 내역: 1585년 묘소 아래 창건한 후, 1923년 24世 영보(榮輔, 1853~1924)가 현 위치로 중건하고, 1985년에 삼중건된 후 1997년 기와와 석주가 보강되었다.

bul_pop_page_on.jpg 위치: 경북 문경시 호계면 자실길 70-7

 

 

iq02.png 유적: 지락헌(至樂軒)_지락헌공파

 

um-55.jpgbul_pop_page_on.jpg 내역: 11世 이흠(李欽, 1420~1495)이 문경의 산양 반암에 1482년에 지은 정자로 지락헌(至樂軒)이라 명명하고, 1935년 26世 종헌(鍾憲,1902~1948)이 중건하고 1997년 ㅇㅇ世대석(ㅁㅁ)이 보수하였다. 남쪽의 징파루(澄波樓)와 동쪽의 광원대(廣遠臺)는 세월에 허물어져 현판만 지락헌 좌우에 걸었다.

bul_pop_page_on.jpg 위치: 경북 문경시 호계면 봉서1리 322-1

 

 

 

iq02.png 유적: 초계변씨 미르물 세거비(草溪卞氏 龍泉 世居碑)_지락헌공파

 

um-56.jpgbul_pop_page_on.jpg 내역: 11世 이흠(李欽,1420~1495)이 진잠현감을 사직하고, 현 문경 산양으로 이주하여 영강변 반암에 지락헌, 징파루, 광원대를 세워 자연과 벗삼아 살다가 1510년경 영강이 범람하자 이 미르물 근처로 옮겨, 문중이 이곳에서 500여년 번창하여 1960년대에는 초계변씨와 안동권씨 70여호가 살았다.

bul_pop_page_on.jpg 위치: 경북 문경시 산양면 진정리 158

 

 

 

iq02.png 유적: 13세변원종 묘와 비(13世 卞元宗 墓와 碑)_지락헌공파

 

um-57.jpgbul_pop_page_on.jpg 내역: 13世 원종(元宗)은 충순위를 역임하고, 예조참의로 증직(贈職)되었다

bul_pop_page_on.jpg 위치: 경남 진양군 금산면 용아리 월아촌

 

 

 

iq02.png 유적: 영모정(永慕亭)_지락헌공파

um-58.jpg

bul_pop_page_on.jpg 내역: 15世 구(球, 1515~?)는 호가 두암(斗岩)이며, 첨지중추부사를 지냈고 고창 입향시조 16世 성온(成溫), 성진(成振) 형제의 부친임. 이 사당은 21世 동빈(東彬,1723~1792)이 구축하여 1954년 중수되고 매년 음력 3월 3째주 토요일에 시사를 지낸다.

bul_pop_page_on.jpg 위치: 전북 고창군 아산면 영모정길 88

 

 

iq02.png 유적: 두암초당(斗巖草堂)_지락헌공파

 

um-59.jpgbul_pop_page_on.jpg 내역: 16世 성온(成溫)과 성진(成振)형제가 선친을 기리며 지은 정자로, 21世 동빈(東彬)이 인천강변에서 이곳으로 이건 하고 이후도 여러차례 고쳤으며 방 한칸과 마루 2칸으로 되어 있다. 하서 김인후, 퇴계 이황,노사 기정진의 글들이 현판에 있고, 판소리 김소희 명창이 15세(歲)에 이곳에서 득음을 하고, 2021년 12월 국가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bul_pop_page_on.jpg 위치: 전북 고창군 아산면 영모정길 88-7

 

 

 

iq02.png 유적: 16세변성온,변성진 묘소와 단비(16世卞成溫,卞成振 墓所와 壇碑)_지락헌공파

um-60.jpg

bul_pop_page_on.jpg 내역: 16世 성온(成溫, 1530~1604, 호는 호암:壺巖)과 16世 성진(成振, 1540~1614,호는 인천:仁川) 형제의 묘소이고, 남긴 글들을 후손들이 호인백계실기로 간행하였다. 또 29世 용섭(鎔燮,1939~ )이 호암변성온선생 형제유적(壺巖卞成溫先生兄弟遺蹟)을 2025년 간행하였다.

bul_pop_page_on.jpg 위치: 전북 고창군 반산면 반암리

 

 

iq02.png 유적: 사효재(思孝齋)_지락헌공파

 

um-61.jpgbul_pop_page_on.jpg 내역: 16世 언옥(彦玉)은 무과에 급제하여 임란에 참전한 거제 입향시조로 가선대부, 한성부판윤으로 증직(贈職)되었다. 후손들이 제실로 2017년 새로 준공하였다.

bul_pop_page_on.jpg 위치: 경남 거제시 아주동 산 113-2

 

 

 

iq02.png 유적: 25세 변인규 묘와 공적비(25世卞仁圭 墓와 功績碑)_지락헌공파

um-62.jpg

bul_pop_page_on.jpg 내역: 25世 인규(仁圭, 1879~1947)는 의병대장 이강년의 의병활동시 1895년 12월부터 좌종사부의 종사(從仕)로 참여하여 2005년 건국포장을 받는다.

bul_pop_page_on.jpg 위치: 경북 문경시 호계면 봉서1리 322-1

 

 

iq02.png 유적: 해강재(海岡齋)_지락헌공파

 

um-63.jpgbul_pop_page_on.jpg 내역: 근대 한옥 양식으로 25世 봉규(鳳圭,1882~1951)와 26世 종태(鍾泰, 1905~1966)가 건립한 ㄷ자형 전통 목조 가옥으로 경북 문화재 자료 제428호로 지정되어 있다. 현재 후손인 28世 동식(東軾, 1950~ )이 소유하고 있다.

bul_pop_page_on.jpg 위치: 경북 문경시 산양면 진정리 118-1

 

 

 

iq02.png 유적: 병바위_지락헌공파

um-64.jpg

bul_pop_page_on.jpg 내역: 초계변문 고창지역 500여년된 선산이 있는 곳으로, 현재는 자연경관과 역사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아 이 일대는 2021년 국가지정문화유산 명승으로, 2023년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각 지정되었다.

bul_pop_page_on.jpg 위치: 전북 고창군 아산면 영모정길 88-7

 

iq05.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