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물 및 유적

home > 유물 및 유적

제학공파_청주

페이지 정보

본문

iq02.png 유적: 10세변효문 묘와 공적비(10世卞孝文 墓와 功績碑)_제학공파

um-39.jpg

bul_pop_page_on.jpg 업적: 10世 효문(孝文, 1396~1461)은 제학공(提學公) 중시조로 문과에 급제한 좌익원종공신으로 음양학제조(陰陽學提調), 조선 최초 일본통신사,경주부윤을 역임하였다.저서로 농사직설,신주무원록,오례의주가 있다.

bul_pop_page_on.jpg 위치: 충남 천안시 서북구 입장면 시장리 산 24

 

 

iq02.png 유적: 13세변충남 묘와 공적비(13世卞忠男 墓와 功績碑)_제학공파

 

um-40.jpgbul_pop_page_on.jpg 내역: 13世 충남(忠男, 1495~1546)은 장사랑, 장예원판결사를 지냈고 청주 비홍으로 이거하였다.

bul_pop_page_on.jpg 위치: 충북 청주시 북이면 선암리

 

 

 

iq02.png 유적: 국계서원(菊溪書院)_제학공파

um-41.jpg

bul_pop_page_on.jpg 업적: 백음 14世 경복(景福,1538~1629),눌재 박증영,이유당 이덕수,농계 이수언 4위를 배향한 서원으로, 1871년 서원 철폐령으로 폐쇄된 후 1960년 14世 경복(景福)의 후손들이 다시 세웠고, 1972년 보수하여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청주시 유형유적 제109호이다.

bul_pop_page_on.jpg 위치: 충북 청주시 내수읍 비중길 55

 

 

iq02.png 유적: 14세변경복 효자정려와 유허비(14世卞景福 孝子旌閭와 遺墟碑)_제학공파

um-42.jpg

bul_pop_page_on.jpg 업적: 14世 경복(景福,1538~1629)은 임진왜란때 55세 나이에 노모를 업고 피난함에 나라에서 1602년에 효자정려(청주시 유형문화재 제106호)가 내려지면서 삼강록(三綱錄)에 등재되고, 정려 우축에는 그 효행을 기리기 위해 1776년 유허비(청주시 유형문화재 제107호)가 세워졌다.

bul_pop_page_on.jpg 위치: 충북 청주시 내수읍 비상리 255-1

 

 

iq02.png 유적:  15세변유인 묘와 공적비(15世卞惟寅 墓와 功績碑)_제학공파

um-43.jpg

bul_pop_page_on.jpg 업적: 15世 유인(惟寅, 1566~1641)은 유학자이고 통훈대부 장락원정에 추증되었다.

bul_pop_page_on.jpg 위치: 충북 청주시 미원면 운암리촌 임좌

 

 

iq02.png 유적: 16세변시민 묘와 공적비(16世卞時敏 墓와功績碑)_제학공파

um-44.jpg

bul_pop_page_on.jpg 업적: 16世시민(時敏, 1579~?)은 1603년 무과에 급제하여 1624년 이괄의 난 호종공신이고, 1626년 경흥부사와 이후 낙안군수를 역임하였고 가선대부에 올랐다.

bul_pop_page_on.jpg 위치: 청주시 청원구 북이면 호명리 산 9-5

 

 

iq02.png 유적: 16세변시익 묘와 공적비(16世卞時益 墓와 功績碑)_제학공파

um-45.jpg

bul_pop_page_on.jpg 업적: 16世 시익(時益, 1598~1653)은 1628년 문과에 급제하여 승정원좌승지, 경연참찬관, 춘추관수찬관을 역임했고, 저서로 이득윤의 문집에 제문과 만장이 실려있다. 또 홍양첩에는 당시 선비들이 공의 직소(直疏)를 칭찬하는 많은 시가 실려 있다.

bul_pop_page_on.jpg 위치: 충북 청원군 북일면 초정리 교자산 묘좌

 

 

iq02.png 유적: 16세변시환의 유물(16世 卞時煥의 遺物)_제학공파

 

um-47.jpgbul_pop_page_on.jpg 업적: 16世 시환(時煥,1590~1666)은 유학자로서 병과에 합격하고 흥덕현감을 지냈다. 저서로서 선경후경지도,서괘지도,천인성리합일지도설, 천인성리분석지도,인의예지분석지도,일리중산말합지도 등이 있어 호서부자(湖西夫子)라 불리어 졌다. 1702년 청주 송계서원(松溪書院)에 배향되고 그의 유물일부는 국립청주박물관에 전시되고 있다.

bul_pop_page_on.jpg 위치: 충북 청주시 상당구 명암로 143, 국립청주박물관

 

 

 

iq02.png 유적: 17세 변숙과 죽림영당(17世 卞㩋과 竹林影堂)_제학공파

um-48.jpg

bul_pop_page_on.jpg 업적: 17世 숙(, 1625~1695)외 6현(한산 이후직,고령 신영식,충주 지성구, 개성 왕린,여흥 민광도와 민광시)이 갑계를 구성하여 시례강론하는 것을 그린 을축갑회도(乙丑甲會圖)를 보관할 영당(影堂)을 1696년 창건하였으나, 1871년 철폐되고 이를 1970년 중건(청주시 유형문화재 제115호)하여 1978년 현 위치로 옮겼다

bul_pop_page_on.jpg 위치: 충북 청주시 내수읍 원통리 401번지

 

 

iq02.png 유적: 17세변숙 을축갑회도 외(17世卞㩋 乙丑甲會圖 外)_제학공파

um-49.jpg

bul_pop_page_on.jpg 업적: 17世 숙(㩋, 1625~1695)외 6현(이후직, 지성구, 신영식, 왕린, 민광도, 민광시)으로 구성된 갑계의 문서로 을축갑회도, 규약 등을 죽림영당 (竹林影堂)에서 보관하다 지금은 청주고인쇄박물관에 전시하고 있다.

bul_pop_page_on.jpg 위치: 충북 청주시 흥덕구 직지대로 713, 청주고인쇄박물관

 

 

iq02.png 유적: 19세변익하 효자 정려(16世 卞益夏 孝子 旌閭)_제학공파

um-50.jpg

bul_pop_page_on.jpg 업적: 19世 익하(益夏, 1683~1717)는 통덕랑의 벼슬을 지냈으며 효행으로 1787년 정려(청주시 유형문화재 제108호)를 받았다.

bul_pop_page_on.jpg 위치: 충북 청주시 내수읍 세교초정로 156

 

 

iq02.png 유적: 19세 변관하 묘와 공적비(19世 卞觀夏 墓와 功績碑)_제학공파

um-51.jpg

bul_pop_page_on.jpg 업적: 19世 관하(觀夏, 1666~1737)는 사마시에 급제하고 익찬의 벼슬을 지넀으며 이인좌의 난으로 양무원종 일등공신에 녹권(錄券)되었다.

bul_pop_page_on.jpg 위치: 청주시 북면 정당치 오좌

 

 

iq02.png 유적: 23세 변용래 효자비각(23世卞龍來 孝子碑閣)_제학공파

 

um-52.jpgbul_pop_page_on.jpg 내역: 23世 용래(龍來, 1781~?.11.9)의 후손들이 효자비각(孝子碑閣)을 세운다.

bul_pop_page_on.jpg 위치: 충남 천안시 쌍용동 28통

 

 

iq05.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