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물 및 유적

home > 유물 및 유적

선조들

페이지 정보

본문

 

iq02.png 변정실(1세)

유적: 한국 초계변씨 시조 변정실 묘소(韓國 草溪卞氏 始祖 卞庭實 墓所)

um-01.jpg

 

um-02.jpgbul_pop_page_on.jpg 내역:1世 정실(庭實)은 고려성종때 문과에 급제하고 문화시중을 지낸 한국 초계변씨 8만여명의 시조이다.

매년 음력 10월 1일 후손들이 모여 이 묘소에 서 세일제를 연다.

시조묘는 17世 기달(起達, 1647~1706)의 배우자 진양강씨(晋陽姜氏,1652~1697)가 호수밑에 실묘(失墓)가 있음을 알렸고 1776년 찾아 봉축(封築)되었다. 판석에는 다라니경으로 추정되는 범어가 보이며,묘비는 1973년 문학박사 이가원(李家原)이 찬(撰)하고, 26世 정석(鋌奭 ,1929~?)이 썼다.

bul_pop_page_on.jpg 위치: 경남 합천군 율곡면 갑산리 산 29

 

 

iq02.png 유적: 영모재(永慕齋)

um-03.jpg

 

bul_pop_page_on.jpg 내역: 1791년 20世 광보(光寶, 1727~1796)가 신축하고, 1984년 27世

익수(益洙, 1914~1994)가 중건한 후 2007년 25世 원규(元圭, 1940~2022)가 용덕재, 동재, 취봉문을 중건하면서 영모재도 3중건하여 문중의 재사(齋舍)로 현재와 같은 용모를 갖추었다.

bul_pop_page_on.jpg 위치: 경남 합천군 율곡면 갑산5길 36

 

 

iq02.png 유적: 현통루(玄通樓)

um-04.jpg

 

bul_pop_page_on.jpg 내역: 25世 원규(元圭,1940~2022)가 대종회장 재직시 2010년 신축했다.

bul_pop_page_on.jpg 위치: 경남 합천군 율곡면 갑산5길 39

 

 

iq02.png 유적: 1세 변정실 신도비각(1世卞庭實 神道碑閣)

um-05.jpg

 

bul_pop_page_on.jpg 내역: 1923년 23世정조(定祚, 1870~1936)와 24世영인(榮寅, 1883~1967)이 세우고 지산 김복한(志山 金福漢)이 찬(撰)했다.

           2021년 대종회장 29世 동주(東柱,1947~2024, 보명은 규섭:圭燮)가 비각을 보수(保修)하였다.

bul_pop_page_on.jpg 위치: 경남 합천군 율곡면 갑산리

 

 

iq02.png 유적: 초계변씨비림 5위(草溪卞氏碑林 5位)

um-06.jpg

 

bul_pop_page_on.jpg 내역: 1世 정실(庭實) 신도비, 7世 계손(季孫,1368~1432) 가헌유허비,8世 빈(贇) 정절비, 영모재 중건비, 변씨대종기적비로 총 5위가 있다.

bul_pop_page_on.jpg 위치: 경남 합천군 율곡면 갑산5길 36

 

 

iq02.png 유적: 헌성비 4위(獻誠碑 4位)

um-07.jpg

 

bul_pop_page_on.jpg 내역: 헌성자 내역비로 1985년 영모재 중건, 2001년 숭례사 신축, 2007년 영모재 3중건과 용덕재·동재· 3문등 중건, 2018년 현통루(玄通樓) 설치에 대한 헌성자 명단과 헌성금액이 기록되어 있다.

bul_pop_page_on.jpg 위치: 경남 합천군 율곡면 갑산5길 36

 

 

iq02.png 변광(2세)등 35위

유적: 숭례사(崇禮祠)

um-08.jpg

 

bul_pop_page_on.jpg 내역: 31世 규섭(圭燮,1931~?, 6대대종회장)의 인도로 2001년 준공하여 장파 6위, 중파 8위, 계파_찰방 9위, 계파_중은 6위, 계파_부사 6위 등 총 35위의 신위를 모신 곳으로, 시제를 매년 음력 10월 1일 시조공 제사 후 지낸다.

bul_pop_page_on.jpg 위치: 경남 합천군 율곡면 갑산5길 36

 

 

iq02.png 변빈(8세)

유적: 8세변빈 공적비와 묘(8世卞贇 功績碑와 墓) 

um-09.jpg

 

bul_pop_page_on.jpg  내역: 8世 빈(贇)은 고려 문하평리를 지냈고 고려가 망하자 개성 개풍군 광덕산 서쪽에 은둔하여 절의를 지키다 사망(두문동 72현)하여, 이에 1783년 정조가 개성 성균관에 표절사를 세워 배향(配享)하고, 이후 1934년 개성 두문동서원에 배향되었다. 다시 경남 창원의 양전 성구사에도 배향되고 신도비가 있다.

bul_pop_page_on.jpg 위치: 충남 천안시 직산읍 남산3길 36-10

 

 

iq02.png 유적: 성구사(誠久祠)

um-10.jpg

 

bul_pop_page_on.jpg 내역: 성구사외에 도산서원,일신재,존양재,하마비,유허비가 존재하고 있으며, 경남도 지정문화재 제244호로서 8世 빈(贇), 18世 연수(延壽), 19世 립(岦) 3위의 위패가 모셔져 있고, 1919년 4.3만세운동의 발상지이기도 하다. 매년 봄에는 춘계향사를, 매년 음력 10월 15일 앞 일요일에는 약 60여명이 모여 세일제를 지낸다.

bul_pop_page_on.jpg 위치: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일암1길 151

 

 

iq02.png 9세 남룡

유적: 9세 변남룡 묘와 공적비(9世卞南龍 墓와 功績碑)

um-11.jpg

 

bul_pop_page_on.jpg  내역: 9世 남룡(南龍, ?~1401.2.9)은 고려 개성윤을 지냈고 태조 이성계와 같이 조선을 창건하여 조선 5대 한성판윤(漢城判尹)을 지냈으나, 태종때 무고로 아들 10世 혼(緷,?~1401.2.9.)과 함께 죽임을 당한다. 1985년 파주염씨(坡州廉氏) 묘소에 초혼장으로 묘와 비를 세우고 매년 음력 10월 2일에 세일제를 지낸다.

bul_pop_page_on.jpg 위치: 충남 천안시 직산읍 남산3길 36-1

 

 

iq05.png